7월 1일 신청 없어도 바로 지급되는 에너지 바우처(가구당 평균 36만 원)
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‘에너지 바우처’ 소식을 더 풍부하게 다뤄볼 텐데요. 정부·공공기관 자료와 한국에너지공단 통계 등을 보강하여 “얼마나, 어떻게, 왜” 지원이 이루어지는지 정리했습니다. 1. 에너지 바우처, 나의 혜택 알아보기 연도정부 예산(억원)예산 증가율예상 수혜 가구(만)1가구 평균 지원액(원)20232,891–116299,00020243,714+28%124323,0002025(안)4,100+10%130338,000출처 : 기획재정부 ‘2024~2025년 정부예산안’·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에너지공단2. ‘자동 차감’ 방식이 확대된 이유 정보 사각지대 해소 – 한국보건사회연구원(2024) 조사에서 대상임에도 ‘정보 부족’으로 신청 못 한 비율 19.6 %.전기·가스 체납 증가 – 20..
2025. 7. 2.